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파이썬
- 프로젝트
- K6
- 오라클
- 운영체제
- 초대장
- resilience4j
- oracle
- MongoDB
- spring
- auto configure
- dynamic query
- 학점
- 티스토리
- 알고리즘
- gradle
- 자바
- hyperledger
- smart cast
- 백준 알고리즘
- 파이썬 소스
- 오라클 디비
- jsp
- JVM
- c#
- 유사코드
- 리눅스
- 문법 정리
- SQL
- 자바 프로젝트
- Today
- Total
목록목차 (231)
모종닷컴
Direct Attached Storage 개념) =서버와 전용 케이블로 연결한 외장형 저장 장치 장점 : 1. 직접 연결이 되어있어 빠른 속도 단점 : 1. 연결할 수 있는 개수의 제한이 존재. Network Attached Storage 개념) =컴퓨터네트워크(LAN과 같은 Ethernet Interface)에 연결된 노드사이에 파일 기반의 공유 저장소를 제공하는 컴퓨터 기억 장치 =LAN으로 연결해 사용할 수 있는 외장하드디스크 장점 : 1) 데이터 공유가 쉽고 저장 장치를 들고 다닐 필요가 없다는 점 2) SAN이나 DAS에 비해 저렴한 가격과 편한 설치 단점 : 1) 네트워크 연결이 되어 있어야 한다. 2) LAN을 이용하기 때문에 연결이 많아질 경우 트래픽 문제 발생 3) 파일 서버를 경유하여..
오늘은 C#에서 Value Type/Reference Type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값 형식(Value Type) 먼저 기본 자료형(string을 제외한)과 사용자 정의 구조체의 변수는 값 형식이며 스택에 저장됩니다. ex) int x = 10; // 변수 x는 스택에 저장. 값 형식으로 저장된 변수들은 범위 밖을 나가면 스택에서 제거됩니다. □참조 형식(Reference Type) 이번엔 참조형식인데 인스턴스 변수(클래스,배열)들은 참조 형식이며 힙 영역에 저장됩니다. ex) Student stu = new Student(); // 인스턴스 변수 stu는 힙 영역에 저장. 참조 형식으로 저장된 변수들은 C#에서 효율적인 메모리 관리를 위해 가비지 컬렉터란 것이 소멸 되는 시점을 판단하여 객..
학교 과제로 비지도학습에 대하여 조금 알아보았습니다. 기계 학습 (1) 새로운 정보를 학습하고, 습득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과 결부시키는 지식 습득. (2)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결과를 얻어내는 기술의 개선 과정 (3) 학습 방식에 따라 지도 학습, 준지도 학습, 비지도 학습, 강화 학습으로 분류 ◆비지도 학습 = 기계 학습 중 하나 ◆비지도 학습의 종류 1)K means 알고리즘 -군집 알고리즘 -클러스터 내부에 속한 데이터들이 서로 '가깝다'라고 정의, '가장 가까운' 내부 거리를 가지는 클러스터를 고르는 알고리즘 (출처:http://jinquixote.tistory.com/124) 2)Kernel Density estimation 알고리즘\ -non-parametric 방..
자바를 활용한 웹 크롤러 예제 입니다. 준비물 : commons-logging httpclient httpcore jsoup .jar파일들이 필요합니다~~ 1)위에 준비물들은 apache에서 다운받습니다. 2)이클립스에서 본인이 작성할 프로젝트 위에서 Build Path -> Add External JARs -> 다운 받은 파일 선택 후 -> Apply 3) 후에 다음과 같은 소스를 작성해 넣습니다. 클래스파일 , 이름 = CrawlerExample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nio.charset.Charset; import org.apache...
1. 요구 분석에 사용하는 세 가지 측면의 모델링 방법을 나열하고 각각의 차이와 표현 방법을 설명하라. 기능적 모델 = 사용자와 환경의 관점 정적 모델링 = 클래스 구조의 관점 동적 모델링 = 시스템의 동작과 내부요소의 관점 2. 기능적 요구와 비기능적 요구의 차이를 설명하라. 또한 인터넷 쇼핑몰의 기능적 요구와 비기능적 요구 사항이 될 수 있는 것을 다섯 가지씩 사례를 들어보라. 기능적 요구 = 시스템이 처리해야 할 것들 비기능적 요구 = 시스템이 작동되면서 가져야 할 특성 3. 요구 결정을 위하여 주의하여야 할 점은 무엇인가? 나열하고 설명하라. 사용자와 엔지니어가 정보를 나누고 이해 4. 비즈니스 프로세스 분석을 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세 가지 작업 단계를 각각 설명하라. 사용자에게 그들의 진정한 니..
프로젝트명 KBU_ChatBot 개 발 언 어 Java 프로젝트 종류 팀 프로젝트 개 발 도 구 Eclipse neon 3,AWS(Lambda, API Gateway) 프로젝트 기간 2017.09.30 ~ 2017.10.11 개 발 종 류 카카오톡을 이용하여 성서대의 유용한 정보를 알려주는 자동 응답 서비스 프로그램 요약 ◆개발 목적 한국성서대 학생들의 주된 사용정보나 반복되는 질문들을 카카오톡이라는 대중화된 앱을 통해 응답자의 귀찮음 해소 및 사용자가 원하는 빠른 자동응답서비스 개발 ◆프로그램 설명 카카오톡의 자동응답 API를 통해 한국성서대의 정보를 시간과 공간에 제약 없이 얻을 수 있다. 주 요 화 면 주 요 기 능 String의 contain 기능과 카카오 라벨, 카카오 이미지, 링크 기능을 사용..
요구 분석 과정 =현재 시스템에서 새로운 시스템로 옮겨 가는 과정 요구 정의(기능적, 비기능적) -> 요구 추출(요구 취합) -> 요구 정리(모델링) -> 요구 검토 *모델링 : 실체를 축약하여 표현하는 작업 1)기능적 모델링 : 사용자와 환경이라는 관점의 모델 2)정적 모델링 : 클래스의 구조의 관점 3)시스템의 동작과 내부요소의 상호작용 관점 분석 단계는 시스템에 대한 자세한 제안을 사용자, 관리자, 관련자가 참석한 회의에서 발표함으로써 끝난다.(=워크스루) ->승인된다면 설계 단계로 넘어간다. 요구를 결정하는 단계는 쉽게 변경 가능. (프로토타이핑 or 애자일 방법론 효과적) 요구 = 사용자의 니즈에 초점 기능적 요구와 비 기능적 요구 기능적 요구 : 시스템이 수행해야 할 처리나 가져야 할 정보와 ..
1.왜 많은 프로젝트가 이해할 수 없는 납기일을 정하게 되는가? 프로젝트 관리자는 이해할 수 없는 요구에 어떻게 반응하여야 할까? 분석과정에서 제대로 일정을 짜지 못하였기 때문에 프로젝트 관리자는 적절하지 못하다는 이유를 잘 설명하고 다시 조정해야 한다. 2.SWOT 분석이란 무엇이며 어떤 경우에 사용하는가? 답: 전략적 계획(=기관의 장기적인 목표나 전략, 그리고 이를 위한 자원들을 찾는 과정)을 수립할 때 유용하다. 기관의 강점, 약점, 기회, 위험을 파악하는 것. S : 주된 강점은 무엇인가? W : 주된 약점은 무엇이고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가? O : 주요 기회는 무엇인가? T : 우리가 당면한 위기는 무엇인가? 3.경영 목표란 무엇이며 경영 목표와 IT프로젝트 선정과의 관계를 설명하라. 목적,..
프로젝트란? =비즈니스 가치를 창조하는 시스템을 만드는 처음부터 마지막까지의 작업 집합 계획 단계의 작업 과정 Step 1: 비즈니스 목표의 설정 Step 2: 시스템 개발 요청 정의 Step 3: 타당성 분석 Step 4: 프로젝트 개발 일정과 비용 산정 Step 5: 계획서 작성 Step1 : 비즈니스 목표의 설정 1)전략적 계획 -장기적인 큰 그림 -로드 맵 2)현재 상황을 잘 인식하고 미래에 대한 분명한 비전이 필요 3)SWOT 분석 S(Strengh/강점) W(Weakness/약점) O(Opportunity/기회) T(Threat/위험) 4)경영 목표 -미션 선언문 Step 2: 시스템 개발 요청 정의 1)프로젝트 선정 -시스템을 구축하여 얻을 비즈니스 가치를 발견했을 때 시작 - IT부서, 경..
RESTful을 몰라 검색 → SOAP → RPC → xml → json → 프로시저 → RPC → SOAP → REST 순으로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완벽하게 이해는 못했지만 이해한 만큼만 올리려고 합니다요. xml? json? 이 둘의 공통점은 구조화된 문서를 전송 가능하게 만든 텍스트 포멧 형식을 말한다. 예를 들어보자 "123124" "마우스" "1" "12000" 이라는 데이터를 전송하면 상대방은 이게 무슨 데이터인지 모르것이다. xml 예) json 예) { "goods": { "물품명" : "마우스" "물품번호" : "123124" "수량" : "1" "가격" : "12000" } } 이런식으로 데이터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 xml과 json의 장단점 xml의 장점 -tag구조 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