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hyperledger
- JVM
- 리눅스
- 학점
- 파이썬
- K6
- 자바
- MongoDB
- 운영체제
- 티스토리
- 문법 정리
- smart cast
- oracle
- auto configure
- resilience4j
- 오라클 디비
- jsp
- spring
- 초대장
- 오라클
- 유사코드
- 백준 알고리즘
- 알고리즘
- 자바 프로젝트
- c#
- 파이썬 소스
- 프로젝트
- gradle
- dynamic query
- SQL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31)
모종닷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t29ln/btrZPTGQwQr/k5FcEgA2pqghtZJ8QkMNF0/img.png)
요즘 제 관심사는 Reactive Programming인데요. 문득 궁금한 부분이 생겼습니다. Reacitve 시스템은 기존 전통적인 방식과 비교하여 어떤 점이 좋아진 걸까요? 이를 위해 Spring MVC와 Spring WebFlux를 이용해서 각각 데모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이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APM이 필요했는데요. 인텔리제이와 Visual VM을 연동하는 방법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공유드리고자 포스팅을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Visual VM 설치 https://visualvm.github.io/download.html 위 페이지를 통해 먼저 Visual VM을 설치해주세요. 그리고 압축을 풀어주세요. VisualVM: Download Download Visu..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YkFp5/btrZJ2dVGAd/3He1KBM36NxBZ7KUmWWP70/img.png)
Reactive Streams가 뭐야? 요즘 ChatGPT가 유행이죠 ChatGPT에게 질문 먼저 던지고 시작하겠습니다. 비동기 및 이벤트 기반 시스템에서 구성 요소 간의 효율적인 비동기 스트림 처리를 위한 표준화된 API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 뭔가 석연치 않은 대답으로 보입니다. 그냥 위키에 정의된 Reactive Streams를 찾아보았습니다. 리액티브 스트림 정의 "Reactive Streams is an initiative to provide a standard for asynchronous stream processing with non-blocking back pressure" 리액티브 스트림은 논블럭킹 back-pressure로 비동기 스트림 처리를 위한 표준을 제공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rmO6J/btrXqtqSqMR/oSmsPEIdezEhacQtKAQSUk/img.jpg)
어느새 입사한 지 3년이 다 되어갑니다. 연차로는 3년 차에서 4년 차로 넘어가려는 시점에 놓여있네요. 스스로 3년이라는 시간을 보았을 때 여러 가지 의구심이 들기 시작합니다. 나는 과연 4년차에 맞는 실력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 3년이라는 시간동안 난 무엇이 달라졌을까? 성장하기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할까? 나는 좋은 개발자, 좋은 동료일까? 기타.. 이러한 의구심이 들 때에 DDC 콘퍼런스를 보게 되었는데요. 콘퍼런스 내내 많은 생각들을 할 수 있었습니다. DDC에서 기억에 남는 몇 가지 세션을 기록해 두기 위해 그리고 다른 분들께도 내용을 공유드리기 위해 핵심이라고 생각되었던 부분을 공유드릴까 합니다.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입니다. 무신사의 이원지님께서 처음 세션을 열어주셨습니다. 이직을 통해 얻고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m6GWA/btrWSvXzLNR/ehVRK86vByQMBKIQTz3Wnk/img.png)
스프링 프레임워크 기반 프로젝트를 계속하다 보니 문득 내가 모르는 스프링 프로젝트가 또 있나 싶어서 확인하다 보니 Spring Shell 프로젝트를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최근 프로젝트 테스트를 위한 방법을 조금 고민하고 있었는데 어쩌면 좋은 방안이 될 수 있을 것 같아 한번 사용해봤습니다. Spring Shell ?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멋진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필요한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대화형 터미널을 통해 응용 프로그램과 상호 작용하는 것이 적절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스프링 쉘에는 고급 기능(구문 분석, 탭 완성, 출력 색상 지정, 입력 변환 및 유효성 검사)이 포함되어 있어 핵심 명령 로직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스프링 쉘을 써보기로 결정한 이유? 저의 경우 스프링 기반으로 만든 프로젝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paXmx/btrWb3106oB/drjvz9kfzKrwikMV8mnKgk/img.png)
Spring에서 Redis을 사용할 때 동적인 데이터를 삽입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spring-data-redis 버전에 따라 살짝 다르긴 하지만 현재 사용 중인 2.2.13.RELEASE 버전을 기준으로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프로젝트 세팅 (gradle, kotlin, spring boot) 그레이들 스크립트 import org.jetbrains.kotlin.gradle.tasks.KotlinCompile plugins { id("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2.2.13.RELEASE" id("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0.15.RELEASE" kotlin("jvm") version "1.6.21" kot..